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wift
- EnvironmentObject
- 동형 암호
- ObObjective c
- VirtualBox
- URLSessionConfiguration
- URLSession
- ObservableObject
- Data Flow Through SwiftUI
- BindableObject
- AI
- apple intelligence
- pipelines
- Xcode
- Homomorphic Encryption
- error outputting keys and certificates
- app intents
- apache
- #colorLiteral
- HTTP
- SwiftUI
- 앱 인텐트
- php
- provisioning file path
- MAC
- colorLiteral
- 정보관리기술사
- 애플인텔리전스
- IOS
- Security as a Service
- Today
- Total
목록Xcode (4)
Project Jo
cocoapods를 이용해 빌드 환경을 설정하면 매 패키지 마다 모든 소스를 빌드해서 속도가 느려진다. 그럼 중간 빌드 과정을 저장해서 재사용하면 속도가 당연히 빨라질 것이라 생각하고 검색해본 결과 cocoapods-binary-cache 를 알게 되었다. 결과부터 말하자면 내가 관리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적용이 불가능 하였고, 속도 또한 큰 변화가 없어 도입을 진행하지는 못하였다. 하지만 잘 적용하고 관리가 가능하다면 좋은 방법이 될것 같아 이곳에 정리해 둔다. (다른 분은 성공하세요...) 1. bundle 를 이용해 환경을 설정한다. 1.1. bundle 초기화 bundle init 1.2. Gemfile 설정 source 'https://rubygems.org' gem "cocoapods" gem "..
Xcode 사용시 프로파일이 저장 되는데, PC 백업시 프로파일을 모두 가져가야 편하다. 경로는 다음과 같다. ~/Library/MobileDevice/Provisioning Profiles
코드 구현중 RGB 로 색상을 넣을 경우가 있다. 하지만, 코드상으로 작성 되어 있기 때문에 앱을 실행하지 않고서는 정확한 색상값을 볼 수 없다. 이때 colorLiteral 를 사용하면, 코드상에서 직접 색상을 볼수 있고, 선택하여 GUI 환경에서 색상을 편집 가능하다. 아래와 같이 컬러값을 설정하면 Xcode 가 눈에 보이게 색상을 넣어준다. #colorLiteral(red: 0.8078431487, green: 0.02745098062, blue: 0.3333333433, alpha: 1) Swift 에서 사용하는 컬러값으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. struct ChildTextView: View { var body: some View { Text("Hello, World!") .fo..